ECMAScript 2015(ES6)에 추가된 템플릿 문자열을 이용하면 ' + '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고 문자나 변수를 연결할 수 있다.
문자열에 큰 따옴표나 작은따옴표 대신 백틱/백쿼드(`)를 사용하고 ${변수}로 표현한다.
console.log(`${변수이름} 내용 ${변수이름}`);
document.write(`${변수이름} 내용 ${변수이름}`);
연산자
프로그램에 필요한 수식을 만들때 사용한다.
연산자의 종류로는 산술연산자, 대입연산자, 비교연산자, 논리 연산자, 비트 연산자, 삼항 연산자 등이 있습니다.
산술연산자
산술연산자 종류 | 속성 설명 |
+ | 더하기 연산, 문자와 문자 연결할때 사용 |
- | 빼기 연산 |
* | 곱하기 연산 |
/ | 나누기 연산 |
% | 나머지 |
++ | 1씩 증가 |
-- | 1씩 감소 |
+ 연산자
좌변과 우변에 둘다 숫자가 있을 경우 산술 연산
좌변과 우변에 숫자가 아닌 문자나 변수가 올경우 연결 연산을 하게 된다.
document.write(1+1); // 2
document.write(1+'1'); //11
- 연산자
좌변과 우변에 문자가 오더라도 숫자 우선이라서 '' 안에 숫자가 있을 경우 산술 연산을 한다.
%연산자
반복적인 숫자 구간의 패턴, 조건문을 이용한 짝.홀수 판단, 배수 판단 등의 식을 만드는데 사용한다.
홀수 x % 2 = 1
짝수 x % 2 = 0
5보다 작은 값
x% 5 = 0~ 4 사이의 값 반환
++ , -- 연산자
변수의 값을 1씩 증가 시키거나 감소시키는데 사용한다.
변수 앞이나 뒤쪽에 붙여 사용할 수 있다.
let num = 10;
let result = num--; //10출력 num에 저장된 값은 9
let num1 = 10;
let result1 = --num; //9출력 num1에서 먼저 1을 뺀 값을 출력 저장된값도 9
증가감 연산자가 변수와 단독으로 사용 될 때는 변수의 앞쪽이나 뒤쪽에 붙여도 상관없지만
= 연산자와 같이 사용이 되면 우선 순위 문제로 결과 값에 영향을 준다.
우선순위
result = num-- 의 경우
num-- 이 = 보다 우선 순위가 낮아서 result = num 이 먼저 연산 된 후 num-- 이 연산된다.
result1 = --num 의 경우
--num 이 = 보다 우선순위가 높아서 --num 을 먼저 연산한 후 결과값을 result1변수에 저장한다.
전치연산자
let result = ++num
let result = num = 11
let result = 11
후치연산자
let result1 = num++
let result1 = 10
num++
num = 11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연산자 - 비교연산자 (0) | 2023.06.21 |
---|---|
Data type & Data type Conversion (0) | 2023.06.14 |
javascript - data type (0) | 2023.06.13 |
JAVASCRIPT 변수 (0) | 2023.06.13 |
JAVA SCRIPT란? (0) | 2023.06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