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리미어프로

동영상 파일로 출력 - 렌더링 방법

funfunweb 2025. 7. 14. 16:13

File - Export - Media  - 단축키 Ctrl + M

 

타임 인디케이터 스냅 - shift 누르고 인디케이터 이동

📤 1. 파일 내보내기 시작하기

  1. 타임라인에서 내보낼 구간을 선택합니다.
    • 타임라인에 있는 모든 콘텐츠를 내보내려면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고 그대로 진행합니다.
    • 특정 구간만 내보내려면 **인점 (I)**과 **아웃점 (O)**을 설정한 후 내보낼 수 있습니다.
  2. 파일 메뉴에서 내보내기미디어를 클릭합니다.
    • 단축키: Ctrl + M (Windows) / Command + M (Mac)
  3. 출력 구간 삭제하기 
  •        시간표시 위에서 우클릭 - Clear In and Out

📋 2. 내보내기 설정

내보내기 창이 열리면 다양한 출력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각 설정을 조정하여 원하는 동영상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.

포맷 선택

  • 포맷 (Format): 동영상 파일 형식을 선택합니다.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식은 H.264 (MP4 파일 형식)입니다.
    • H.264: 고압축, 널리 사용되는 형식 (예: MP4)
    • QuickTime: MOV 형식
    • AVI: Windows에서 많이 사용되는 형식
    • ProRes: 고품질 영상 출력을 원할 때 사용

출력 이름과 위치

  • 출력 이름 (Output Name): 파일 이름을 지정하고, 저장할 위치를 설정합니다.
    • "파일 이름" 옆에 있는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이름과 위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비디오 설정

  • 해상도 (Resolution): 원하는 해상도를 설정합니다. 예: 1920x1080 (Full HD), 3840x2160 (4K)
    • 해상도는 프로젝트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설정해야 원본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  • 프레임 레이트 (Frame Rate): 일반적으로 30fps24fps가 많이 사용됩니다. 프로젝트 설정에 맞춰 선택합니다.
    •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면 영상이 부자연스러워질 수 있으므로, 원본 영상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비디오 압축 (Bitrate): 비트레이트를 선택하면 영상 품질과 파일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비트레이트를 높이면 파일 크기가 커지며 품질이 좋아집니다.
    • 비트레이트를 낮추면 파일 크기는 작아지지만 품질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
    • 비트레이트 설정:
      • VBR, 2패스 (Variable Bitrate): 품질이 좋고 크기가 적당함.
      • CBR (Constant Bitrate): 일정한 비트레이트로 파일을 생성. 품질 유지가 가능하지만 용량이 커질 수 있음.

오디오 설정

  • 오디오 포맷 (Audio Format): 일반적으로 AAC가 사용됩니다.
  • 샘플링 레이트 (Sample Rate): 44.1kHz 또는 48kHz 선택
  • 비트 깊이 (Bit Depth): 16비트 또는 24비트 선택

 

🎥 3. 내보내기 시작하기

모든 설정을 마친 후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하면 동영상이 생성됩니다.

  1. 내보내기 버튼 클릭 후, 내보내기 대기 중 상태로 바뀌고,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2. 작업이 완료되면 설정한 위치에 동영상 파일이 저장됩니다.

 

4. 내보내기 큐 사용하기 (Media Encoder)

Adobe Media Encoder를 사용하면 여러 파일을 동시에 내보낼 수 있습니다. 큐에 여러 파일을 추가하고 하나씩 출력하는 방식으로, 여러 프로젝트나 파일을 동시에 처리할 때 유용합니다.

  1. 미디어 창에서 큐에 보내기를 클릭합니다.
  2. Adobe Media Encoder가 열리면, 에서 여러 파일을 한 번에 설정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.

 

유튜브용 렌더링

 

📤 1. 내보내기 (Export) 시작하기

  1. 타임라인에서 내보낼 구간을 선택하세요.
    • 전체 프로젝트를 내보내려면 인점 (I)과 아웃점 (O)을 설정할 필요는 없습니다.
    • 특정 구간만 내보내려면 인점/아웃점을 설정한 후 내보낼 구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  2. 파일내보내기미디어 클릭
    • 단축키: Ctrl + M (Windows) / Command + M (Mac)

📋 2. 내보내기 설정

내보내기 창에서 유튜브에 최적화된 출력 설정을 선택합니다. 중요한 설정들을 하나씩 살펴볼게요!

형식 (Format): H.264

  • 유튜브에 가장 적합한 형식은 H.264입니다. 이 형식은 좋은 영상 품질작은 파일 크기를 제공하여 업로드가 빠릅니다.
  • H.264를 선택하고, 출력 파일 형식MP4로 설정합니다.

프리셋 (Preset): YouTube 1080p Full HD 또는 YouTube 4K

  • 프리셋을 사용하면 미리 설정된 최적화된 출력값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:
    • YouTube 1080p Full HD (1920x1080, 16:9 비율)
    • YouTube 4K (3840x2160, 16:9 비율)
  • 이 프리셋은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해상도와 설정에 맞춰져 있습니다.

출력 이름 (Output Name)

  • 출력 파일 이름을 설정하고, 저장 위치를 선택합니다.
    • 파일 이름 옆에 있는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저장 위치를 설정합니다.

🎬 3. 비디오 설정 (Video Settings)

해상도 (Resolution): 1920x1080 (Full HD) 또는 3840x2160 (4K)

  • 유튜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해상도는 1080p입니다.
  • 4K 영상을 올릴 경우, 3840x2160 해상도를 선택하세요.

프레임 레이트 (Frame Rate):

  • 30fps 또는 60fps를 권장합니다.
    • 30fps는 대부분의 일반 영상에 적합합니다.
    • 60fps는 게임 영상이나 액션 장면에 적합합니다.
  • 프로젝트의 프레임 레이트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
비디오 압축 (Bitrate):

  • 비트레이트는 영상 품질과 파일 크기에 영향을 미칩니다. CBR (Constant Bitrate) 또는 **VBR (Variable Bitrate)**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VBR, 2패스 (Variable Bitrate, 2-pass): 비트레이트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최상의 품질을 제공합니다. 유튜브 업로드 시 VBR, 2-pass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  • 비트레이트 값: 8 Mbps에서 12 Mbps 사이를 추천합니다.
      • Full HD (1080p): 8 Mbps에서 12 Mbps
      • 4K: 35 Mbps 이상 (비트레이트를 높일수록 영상 품질이 좋아지지만 파일 크기도 커집니다)

키 프레임 거리 (Key Frame Distance):

  • 키 프레임 거리250 프레임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합니다.
    • 유튜브 최적화: "Automatic"으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.

🎶 4. 오디오 설정 (Audio Settings)

오디오 포맷 (Audio Format): AAC

  • 유튜브에서 요구하는 오디오 포맷은 AAC입니다.

샘플링 레이트 (Sample Rate): 48 kHz

  • 48 kHz는 유튜브에서 사용하는 표준 샘플링 레이트입니다.

오디오 비트레이트 (Audio Bitrate): 320 kbps

  • 320 kbps로 설정하면 좋은 품질의 오디오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🌐 5. 기타 설정

비디오 및 오디오 출력

  • 비디오 및 오디오 모두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.
  • 오디오가 필요한 경우, 오디오 트랙도 선택해야 합니다.

내보내기 큐 (Queue) 사용

  • 여러 파일을 한 번에 내보낼 경우, Adobe Media Encoder를 이용한 큐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미디어 큐에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면 여러 프로젝트나 파일을 한 번에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.

🎯 6. 내보내기 (Export)

모든 설정을 마친 후, 내보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. 이제 영상이 렌더링되고, 설정한 파일 위치MP4 형식의 영상 파일이 저장됩니다.

 

 

 

 

'프리미어프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비트레이트(Bit Rate)  (0) 2025.07.14
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정리  (0) 2025.07.14
프리미어프로 인터페이스  (0) 2025.07.14
단축키  (0) 2025.07.14
영상 편집 용어  (0) 2025.07.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