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리미어프로

영상 편집 용어

funfunweb 2025. 7. 14. 14:51

🎬 교차편집 (Cross-Cutting)

  • 교차편집은 두 개 이상의 다른 장면을 교차해서 편집하는 기법입니다. 주로 동시에 발생하는 두 사건병렬적으로 보여주며, 관객이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음을 인식하도록 만듭니다.
    • 용도: 긴박감 조성, 사건의 병행성 강조, 서스펜스 창출
    • 예시: 추격전, 구출 장면에서 사용. 한 장면에서 경찰이 범인을 추격하고 다른 장면에서는 범인이 도망가고 있는 모습이 교차편집으로 이어짐.

🎤 내레이션 (Narration)

  • 내레이션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한 인물목소리로 이야기를 추가하는 방식입니다. 소설이나 기록물에서 주로 사용되며, 주로 이야기의 배경, 상황 설명, 인물의 감정 등을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.
    • 용도: 시청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인물의 내면을 드러낼 때 사용
    • 예시: 영화 <타이타닉>에서 의 내레이션으로 과거의 이야기를 전개하거나, 다큐멘터리에서 이야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내레이션.

듀레이션 (Duration)

  • 듀레이션장면이나 컷영상 내에서 지속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. 각 장면의 듀레이션은 영상의 리듬속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
    • 용도: 시간적 흐름을 조정하며 감정의 고조장면의 템포를 조절
    • 예시: 한 장면의 긴장감을 지속시키기 위해 더 길게 잡을 수도 있고, 긴박감을 주기 위해 컷의 듀레이션을 짧게 만들기도 합니다.

🔄 디졸브 (Dissolve)

  • 디졸브는 한 장면이 서서히 다른 장면으로 겹쳐지며 전환되는 기법입니다. 보통 시간의 흐름, 변화, 또는 감정의 변화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.
    • 용도: 시간의 경과나 감정의 변화, 부드러운 전환
    • 예시: 영화에서 하루가 지나가는 장면을 보여주기 위해 한 장면이 다른 장면으로 디졸브하여 전환될 때 사용.

⏱️ 러닝타임 (Running Time)

  • 러닝타임은 영화나 영상의 전체 길이를 의미합니다. 영화의 러닝타임은 대개 이나 시간으로 표시되며, 영상이 시작부터 끝까지의 시간의 총합입니다.
    • 용도: 영화의 전체 분량을 나타내며, 관객이 영화를 보는 데 필요한 시간을 알려줍니다.
    • 예시: 영화의 러닝타임이 120분이라면, 영화가 2시간 동안 지속된다는 의미입니다.

🛠️ 리프트 (Lift)

  • 리프트는 원래 배경음악이나 효과음이 점차 크게 또는 작게 조절되면서 감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기법입니다. 이 용어는 음향 디자인에서 더 자주 사용되며, 음악이 점차적으로 상승하거나 내려가는 과정을 나타냅니다.
    • 용도: 감정적 고조나 긴장을 강조하거나, 중요한 순간을 만들기 위해 사용
    • 예시: 긴박감이 고조되는 순간에 배경음악이 점차 커지면서 영화의 감정을 강화하는 데 사용됩니다.

🎬 비지엠 (BGm / Background Music)

  • 비지엠은 영상이나 영화에서 배경으로 흐르는 음악을 의미합니다. 주로 감정을 전달하거나 분위기를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
    • 용도: 영상의 분위기를 결정하거나 감정의 흐름을 이끌어가기 위해 사용.

🎞️ 샷 (Shot)

  •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해서 멈출 때까지의 한 번의 촬영을 의미합니다. 한 장면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위입니다.
    • 용도: 영상의 기본 단위로, 편집할 때 샷을 잘라내거나 연결해서 이야기를 구성합니다.
    • 예시: 한 인물이 길을 걷는 모습을 보여주는 롱샷.

🎥 소스 (Source)

  • 소스는 편집하는 데 사용되는 원본 영상 또는 소스 파일을 의미합니다. 촬영된 영상, 오디오, 이미지 등이 모두 소스가 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용도: 편집자가 다루는 원본 자료.
    • 예시: 촬영된 원본 영상 파일이나 음악 파일.

🧩 시퀀스 (Sequence)

  • 시퀀스연속적인 장면을 의미하며, 하나의 이야기나 흐름을 구성하는 여러 샷들을 순서대로 배열한 것입니다.
    • 용도: 특정 장면이나 이야기 단위를 구성하는 데 사용.
    • 예시: 영화에서 한 씬을 구성하는 여러 샷들이 시퀀스로 묶여 있습니다.

🎬 신 (Scene)

  • 하나의 장소와 시간 안에서 일어나는 연속적인 행동을 나타냅니다. 시퀀스보다 더 큰 단위로, 이야기 흐름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.
    • 용도: 이야기의 장면을 구분하는 중요한 단위.
    • 예시: 주인공이 집에서 아침을 먹고 출근 준비를 하는 장면이 하나의 .

🔄 아웃점 (Outpoint)

  • 아웃점장면의 끝을 정의하는 지점을 의미합니다. 이 지점에서 편집이 종료됩니다.
    • 용도: 클립의 끝 지점을 설정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냅니다.
    • 예시: 영화 편집에서 이 끝나는 지점.

🧩 어셈블 (Assemble)

  • 어셈블촬영된 원본 영상순서대로 배열한 편집 작업을 의미합니다. 이 작업은 후속 편집의 기초가 됩니다.
    • 용도: 편집의 첫 단계로, 샷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구성.
    • 예시: 여러 컷을 이어붙여 초기 편집본을 만드는 과정.

🔄 연속편집 (Continuity Editing)

  • 연속편집시간과 공간이 일관되게 흐르도록 장면을 이어주는 편집 방식입니다.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지하며 시청자가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합니다.
    • 용도: 영화나 드라마의 시간적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갈 때 사용.
    • 예시: 대화 중 두 인물의 컷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대화의 연속성을 유지.

🖋️ 오버라이트 (Overwrite)

  • 오버라이트는 한 클립을 다른 클립으로 덮어쓰는 편집 방식입니다. 기존의 클립을 대체하는 형태로 작업합니다.
    • 용도: 기존의 영상 클립을 교체하거나 새로운 영상으로 덮어쓰는 작업.
    • 예시: 자막을 수정하기 위해 자막 클립을 기존 자막 클립 위에 오버라이트.

🌀 와이프 (Wipe)

  • 와이프는 한 장면이 다른 장면으로 밀려가듯 전환되는 기법입니다. 화면이 가로 또는 세로로 밀리거나 변형되는 방식입니다.
    • 용도: 시각적으로 강렬한 전환 효과를 줄 때 사용.
    • 예시: 화면이 가로로 밀리면서 새로운 장면으로 전환되는 효과.

🔪 익스트랙트 (Extract)

  • 익스트랙트는 영상에서 특정 부분만 잘라내어 추출하는 편집 작업을 의미합니다.
    • 용도: 필요한 부분만 선택하여 편집본에 삽입할 때 사용.
    • 예시: 영화에서 중요한 대사만 잘라서 짧게 사용하는 경우.

📸 인서트 (Insert)

  • 인서트주요 장면 중간에 짧은 클립을 삽입하여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기법입니다. 보통 세부 사항이나 액션의 디테일을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.
    • 용도: 중요한 디테일을 강조하거나, 상황을 명확히 하기 위해 삽입.
    • 예시: 대화 장면 중에 핸드백 안을 보여주는 클로즈업이 인서트 샷.

  • 인점은 클립에서 편집을 시작할 지점을 의미합니다. 이 지점에서 편집이 시작됩니다.
    • 용도: 클립의 시작 부분을 설정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원하는 부분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예시: 장면의 첫 번째 컷부터 시작할 때 설정.

✂️ 컷 (Cut)

  • 은 두 장면을 직접 연결하는 편집 방식입니다. 가장 기본적인 편집 방식으로, 한 장면에서 다른 장면으로 전환됩니다.
    • 용도: 장면을 빠르게 전환하거나 타이밍을 맞추는 데 사용.
    • 예시: 대화 장면에서 각 인물의 컷을 번갈아 보여주는 것.

🧩 컷편집 (Cut Editing)

  • 컷편집은 여러 장면을 직접적으로 잘라서 이어붙여서 전체 영상을 구성하는 편집 기법입니다.
    • 용도: 대개 일반적인 장면 전환을 위해 사용.
    • 예시: 극적인 장면을 만들기 위한 빠른 컷 전환.

📼 클립 (Clip)

  • 클립은 영상에서 하나의 작은 부분을 의미하며, 전체 영상에서 잘라낸 세부적인 부분입니다.
    • 용도: 영상을 더 작은 단위로 나누어 다룰 때 사용.
    • 예시: 영화에서 중요한 장면을 클립으로 나눠서 작업.

🖱️ 키프레임 (Keyframe)

  • 키프레임은 애니메이션이나 효과가 변하는 주요 지점을 의미합니다. 타임라인에서 중요한 순간을 표시하여 효과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게 합니다.
    • 용도: 시간에 따른 변화를 정확하게 제어.
    • 예시: 움직이는 오브젝트위치나 크기를 조정할 때 키프레임을 사용.

🕰️ 타임코드 (Timecode)

  • 타임코드는 영상에서 각 장면의 위치를 시간 단위로 표시하는 코드입니다. 시:분:초:프레임 형식으로 구분됩니다.
    • 용도: 편집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고, 장면을 찾을 때 사용.
    • 예시: 00:01:30:15 - 이 타임코드는 첫 번째 장면이 1분 30초 15프레임 지점에서 시작함을 나타냅니다.

 

'프리미어프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동영상 파일로 출력 - 렌더링 방법  (0) 2025.07.14
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정리  (0) 2025.07.14
프리미어프로 인터페이스  (0) 2025.07.14
단축키  (0) 2025.07.14
영상촬영 용어  (0) 2025.07.14